맨위로가기

카론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론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죽은 자의 영혼을 저승으로 뱃사공 역할을 한다. 이름의 어원은 '날카로운 시선'을 의미하며, 에레보스와 닉스의 아들로 묘사되기도 한다. 카론은 낡은 배를 타고 아케론 강이나 스틱스 강을 건너며, 뱃삯으로 1 오볼로스를 받았다. 산 자는 일반적으로 태우지 않지만, 헤라클레스, 오르페우스, 아이네이아스, 프시케 등 예외적인 경우도 있었다. 고대 그리스 미술과 문학 작품에서 묘사되었으며, 단테의 《신곡》에도 등장한다. 현대에는 종종 두건을 쓴 해골 모습으로 묘사되며, 명왕성의 위성 카론과 하드로사우루스과 공룡 카로노사우루스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죽음의 신 - 헤르메스
    헤르메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신들의 전령이자 상업, 여행, 경계의 신으로 숭배받았으며, 저승사자로서 죽은 영혼을 인도하고 악기를 창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로마 신화의 메르쿠리우스에 해당한다.
  • 죽음의 신 - 플루톤
    플루톤은 그리스 신화에서 "부의 제공자"라는 의미를 가진 저승의 신으로, 하데스의 완곡한 이름으로도 불리며 지하 세계의 긍정적인 측면과 풍요를 상징하고, 로마 신화의 디스 파테르와 동일시되며, 그의 이름은 명왕성, 플루토늄 등 여러 과학 용어의 어원이 되었다.
  • 그리스의 남신 - 아폴론
    아폴론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빛, 음악, 예술, 치유, 궁술, 예언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중요한 신으로, 제우스와 레토의 아들이며 포이보스라고도 불린다.
  • 그리스의 남신 - 포세이돈
    포세이돈은 그리스 신화에서 바다, 지진, 말을 다스리는 중요한 신으로, 다양한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전역과 이탈리아에서 숭배받았지만, 신화 속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적인 행위도 나타난다.
카론 (신화)
기본 정보
카론의 1886년 삽화
카론의 1886년 삽화
그리스어Χάρων
로마자 표기Kharōn
성별남자
역할하데스의 사후 세계로 영혼을 나르는 뱃사공
상징오볼

가계
부모닉스 (또는 에레보스)
에레보스 (또는 닉스)
형제자매타나토스
히프노스
케레스
모이라이
모모스
오이지스
헤스페리데스
네메시스
아파테
에리스
필로테스
게라스
배우자피르라 또는 오르피네
신화
설명그리스 신화에서, 카론(고대 그리스어: Χάρων, Khárōn)은 하데스의 사후 세계로 영혼을 나르는 뱃사공이다. 그는 에레보스와 닉스의 아들이다. 그는 죽은 사람의 영혼을 아케론 강이나 스틱스 강을 건너 하데스의 세계로 데려다 주는 역할을 한다.
지불카론에게 지불하는 요금은 오볼루스 또는 단 하나의 동전이었으며, 이는 죽은 사람의 입에 넣고 적절한 매장을 받았다. 동전이 없는 사람, 또는 매장되지 않은 사람들은 100년 동안 강둑을 배회해야 했다.
묘사일부 작가(예: 비르길리우스)는 카론을 늙고 초라하게 묘사했다.
미켈란젤로는 카론을 그의 작품 《최후의 심판》에서 악마 뱃사공으로 묘사했다.

2. 어원 및 명칭

'카론'이라는 이름은 '날카로운 시선'을 뜻하는 그리스어 χαρωπός|카로포스grc의 시적 형태인 χάρων|카론grc에서 유래한 고유 명사로 설명된다. 이는 사납고 번뜩이는 또는 열정적인 눈, 또는 푸르스름한 회색 눈을 의미한다. 이 단어는 죽음을 완곡하게 표현하는 것일 수도 있다.[4] 고대 역사가인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뱃사공과 그의 이름이 고대 이집트에서 유래했다고 생각했다.[5]

3. 가계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작가 조반니 보카치오는 그의 저서 ''신들의 계보''에서 시간을 관장하는 신으로 묘사된 카론을 에레보스의 아들로 썼다.[10] 이 아이디어는 "카론"과 "크로노스"의 이름이 유사하다는 점(이미 풀겐티우스와 같은 이전 작가들이 연관성을 언급함)과 둘 다 매우 늙었다고 묘사된 점, 그리고 키케로의 ''신들의 본성에 관하여''에 따르면 노년의 신이 에레보스와 밤의 자식이라고 언급된 사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11]

고대 자료 중 카론의 족보를 제공하는 자료는 없으며,[7] 단 한 곳에서 그를 Akmon (Vater des Uranos)|악몬 (우라노스의 아버지)de의 아들로 언급하는데, 이는 헤시히우스의 렉시콘에서 "악모니데스" 항목에서 발견되며, 이는 의심스럽고 텍스트가 손상되었을 수 있다.[8][9] 파울리-비소바와 다렘베르크와 사글리오 모두 카론의 족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4. 외모 및 성격 묘사

카론이 뱃사공의 노를 들고 배에 서서 죽은 여인을 인도하는 심리적 인도자 헤르메스를 맞이하는 모습. 타나토스 화가, 기원전 430년경


미켈란젤로가 시스티나 성당의 프레스코화 ''최후의 심판''에서 묘사한 카론


카론은 고대 그리스 미술에 묘사되어 있다. 기원전 5~4세기의 고전 아테네의 장례용 꽃병에는 죽은 자들이 카론의 배를 타는 장면이 자주 장식되었다. 초기 꽃병에서 카론은 거칠고 꾀죄죄한 아테네 선원으로 묘사되며, 붉은 갈색 옷을 입고 오른손에는 뱃사공의 노를 쥐고 왼손으로는 죽은 자를 맞이한다. 헤르메스는 때때로 심리적 인도자로서 그의 역할로 옆에 서 있다. 후기 꽃병에서는 카론에게 더욱 "친절하고 세련된" 태도가 부여된다.[12]

기원전 1세기, 로마 시인 베르길리우스아이네이아스의 저승 하강 (''아이네이스'', 6권)에서 쿠마이의 무녀가 영웅에게 그가 살아있는 세상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해줄 황금 가지를 가리킨 후, 녹슨 배를 조종하는 카론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거기 카론이 서서, 음울한 해안을 다스리네.
탐욕스러운 신: 그의 거친 턱에서부터
엉키고 더러운 수염이 길게 늘어져 있네.
그의 눈은 타오르는 텅 빈 화로 같고,
기름으로 더러워진 허리띠가 그의 추잡한 옷을 묶네.[13]



다른 라틴 작가들도 카론을 묘사했는데, 그중 세네카는 그의 비극 ''헤라클레스 퓨렌스''에서 카론을 762-777절에서 더러운 옷을 입고 수척한 뺨과 꾀죄죄한 수염을 한 늙은이, 즉 긴 노로 자신의 배를 인도하는 사나운 뱃사공으로 묘사했다. 뱃사공이 헤라클레스에게 멈추라고 말하자, 그리스 영웅은 그의 힘을 사용하여 길을 얻고, 뱃사공의 노로 카론을 제압한다.[14]

2세기에는 루키아노스가 그의 ''죽은 자들의 대화''에서 카론을 인물로 사용했는데, 특히 4부와 10부 ("헤르메스와 카론" 및 "카론과 헤르메스")가 유명하다.[15]

thumb''에서, 카론은 망설이는 죄인들을 노로 때려 자신의 배로 강제로 태운다. (귀스타브 도레, 1857).]]

14세기에 단테 알리기에리는 그의 ''신곡''에서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6권의 묘사를 차용하여 카론을 묘사했다. 카론은 단테가 저승에서 만나는 첫 번째 신화적 인물로, ''신곡''의 지옥편 3장에 등장한다. 단테는 그를 불타는 눈을 가진 인물로 묘사한다. 다른 곳에서는 카론은 심술궂고 여윈 노인이나 이중 망치를 휘두르는 날개 달린 악마로 나타나지만, 미켈란젤로는 단테의 ''지옥편'' 묘사에 영향을 받아, 게으름을 피우는 사람들을 때리기 위해 어깨에 노를 메고 있는 모습("batte col remo qualunque s'adagia", ''지옥편'' 3, 111절)으로 카론을 묘사했다.[16] 현대에는, 카론은 종종 두건을 쓴, 저승사자와 매우 유사한 살아있는 해골로 묘사된다. 프랑스 예술가 귀스타브 도레는 단테의 ''신곡'' 삽화 중 두 장에서 카론을 묘사했다. 플랑드르 화가 요아힘 파티니르는 그의 ''스틱스 강을 건너는 카론''에서 카론을 묘사했고, 스페인 화가 호세 벤리우르 이 길은 그의 ''카론의 배''에서 카론을 묘사했다.

5. 역할 및 임무

카론은 노를 젓고 넝마를 걸친, 빛나는 눈을 가진 무뚝뚝한 노인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는 죽은 자의 영혼을 짐승 가죽으로 꿰맨 작은 배에 태워 저승으로 인도하는 뱃사공 역할을 한다. 뱃삯은 1오볼로스였으며, 고대 그리스에서는 죽은 사람의 입 안에 1 오볼로스 동전을 넣고 장례를 치르는 풍습이 있었다.

거문고자리 신화에서 오르페우스는 죽은 아내 에우리디케를 되찾기 위해 저승으로 가면서 카론에게 노래를 들려주어 뱃삯을 내지 않고 하데스에게 갔다. 에트루리아 벽화에서는 카론이 망치를 들고 머리에 뱀이 달린 모습으로 그려진다.[1]

5. 1. 뱃삯과 관련된 관습

카론에게 뱃삯으로 1오볼로스를 지불해야 했기에, 고대 그리스에서는 죽은 자의 입 안에 1 오볼로스 동전을 넣어 장례를 치르는 관습이 있었다. 1 오볼로스 동전이 없는 죽은 자는 저승의 강가를 200년 동안 헤매야 했다고 한다.

프시케아프로디테가 내린 시련을 해결하기 위해 뱃삯을 두 번 지불하고 카론의 배를 탔다. 프시케는 명계로 가기 위해 높은 탑에서 뛰어내리려 했으나, 탑 자체가 프시케에게 입 안에 뱃삯으로 쓸 동전 2개를 넣고, 각각 1개씩을 가는 길과 오는 길에 사용하여 카론에게 직접 건네주라고 조언했다. 이 방법을 통해 프시케는 무사히 저승의 강을 건널 수 있었다.

5. 2. 산 자와 카론

카론은 기본적으로 산 사람을 배에 태우지 않지만, 몇몇 예외적인 경우도 있었다.[1]

  • 헤라클레스: 헤르메스의 도움을 받아 카론을 억지로 굴복시켜 배를 타게 했다. 이 일로 카론은 하데스에게 벌을 받아 1년간 쇠사슬에 묶였다.[1]
  • 오르페우스: 죽은 아내 에우리디케를 찾으러 저승에 갈 때 카론에게 아름다운 노래를 들려주어 배를 탔다. 카론은 오르페우스의 수금과 노랫소리에 매료되어 하데스의 저택까지 따라갔다.[1]
  • 프시케: 아프로디테의 명령으로 저승에 가서 아름다움이 담긴 상자를 찾을 때, 오볼로스 두 개와 빵 두 개로 카론을 매수했다. 프시케는 높은 탑에서 뛰어내리려 했으나, 탑의 조언으로 입 안에 뱃삯을 넣고 왕복하는 방법을 써서 무사히 스튀크스를 건넜다.[1] 이는 한국 전통 설화의 바리공주 이야기와도 비슷한 점이 있다.
  • 아이네이아스: 아버지 안키세스를 만나기 위해 명부에 가려고 할 때, 무녀 시빌레의 도움으로 페르세포네에게 바칠 황금 가지를 가져와 카론의 배를 탔다.[1]
  • 페이리토오스와 테세우스: 페르세포네와 결혼하려 꾀한 페이리토오스와 그를 도우려 한 테세우스는 카론의 배에 탔다.[1]
  • 단테베르길리우스: 단테의 『신곡』에서 지옥계에 등장한 카론은 단테와 베르길리우스를 태웠다.[1]

6. 아케론 강과 스틱스 강

파우사니아스와 후대의 단테의 《신곡》 지옥편(3.78)을 포함한 대부분의 기록에서는 카론을 아케론 강가의 늪과 연결시킨다. 핀다로스, 아이스킬로스, 에우리피데스, 플라톤, 칼리마코스와 같은 고대 그리스 문헌에서도 카론을 아케론에 위치시킨다. 프로페르티우스, 오비디우스, 스타티우스를 포함한 로마 시인들은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 나오는 지하 세계의 지리를 따라 강을 스틱스 강으로 명명했을 것이다.

7. 예술 작품 속 카론

기원전 1세기, 로마 시인 베르길리우스아이네이아스의 저승 하강(아이네이스 6권)에서 쿠마이의 무녀가 영웅에게 그가 살아있는 세상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해줄 황금 가지를 가리킨 후, 녹슨 배를 조종하는 카론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거기 카론이 서서, 음울한 해안을 다스리네.
탐욕스러운 신: 그의 거친 턱에서부터
엉키고 더러운 수염이 길게 늘어져 있네.
그의 눈은 타오르는 텅 빈 화로 같고,
기름으로 더러워진 허리띠가 그의 추잡한 옷을 묶네.[13]



다른 라틴 작가들도 카론을 묘사했는데, 그중 세네카는 그의 비극 ''헤라클레스 퓨렌스''에서 카론을 762-777절에 더러운 옷을 입고 수척한 뺨과 꾀죄죄한 수염을 한 늙은이, 즉 긴 노로 자신의 배를 인도하는 사나운 뱃사공으로 묘사했다. 뱃사공이 헤라클레스에게 멈추라고 말하자, 그리스 영웅은 그의 힘을 사용하여 길을 얻고, 뱃사공의 노로 카론을 제압한다.[14]

2세기에는 루키아노스가 그의 ''죽은 자들의 대화''에서 카론을 인물로 사용했는데, 특히 4부와 10부 ("헤르메스와 카론" 및 "카론과 헤르메스")가 유명하다.[15]

이후 카론은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과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에 묘사되었다.

7. 1. 고대 그리스 미술



카론은 고대 그리스 미술에 묘사되어 있다. 기원전 5~4세기 고전 아테네의 장례용 꽃병에는 죽은 자들이 카론의 배를 타는 장면이 자주 묘사되었다. 초기 꽃병에서 카론은 거칠고 꾀죄죄한 아테네 선원으로 묘사되며, 붉은 갈색 옷을 입고 오른손에는 뱃사공의 노를 쥐고 왼손으로는 죽은 자를 맞이한다. 헤르메스는 때때로 심리적 인도자 역할로 옆에 서 있기도 하다. 후기 꽃병에서는 카론에게 더욱 "친절하고 세련된" 태도가 부여되었다.[12]

7. 2. 르네상스 이후



14세기 단테 알리기에리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6권의 묘사를 차용, 자신의 ''신곡''에서 카론을 묘사했다. 카론은 단테가 저승에서 만나는 첫 번째 신화적 인물로, ''신곡''의 지옥편 3장에 등장한다. 단테는 그를 불타는 눈을 가진 인물로 묘사한다.[16]

다른 곳에서 카론은 심술궂고 여윈 노인이나 이중 망치를 휘두르는 날개 달린 악마로 나타난다. 미켈란젤로의 해석은 단테의 ''지옥편'' 묘사에 영향을 받아, 게으름을 피우는 사람들을 때리기 위해 어깨에 노를 메고 있는 모습("batte col remo qualunque s'adagia", ''지옥편'' 3, 111절)을 보여준다.[16] 현대에는 두건을 쓴, 저승사자와 매우 유사한 살아있는 해골로 묘사되기도 한다. 프랑스 예술가 귀스타브 도레는 단테의 ''신곡'' 삽화 중 두 장에서 카론을 묘사했으며, 플랑드르 화가 요아힘 파티니르는 ''스틱스 강을 건너는 카론''에서, 스페인 화가 호세 벤리우르 이 길은 ''카론의 배''에서 카론을 묘사했다.

8. 에트루리아 신화

에트루리아 신화의 벽화에서는 망치를 들고 머리에 뱀이 달린 모습의 카룬(Charun)으로 그려진다.[16] 이는 그리스 신화의 카론과는 다른 모습이다. 에트루리아 신화의 카룬은 죽은 자를 인도하는 수호자 역할을 하며, 망치는 그의 주요 상징이다.

9. 현대의 카론

현대 문화에서 카론은 여러 분야에 영향을 주었다. 명왕성의 가장 큰 위성 카론아무르강 유역에서 발견된 공룡 카로노사우루스는 카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9. 1. 천문학

카론왜행성 명왕성의 가장 큰 위성으로, 그 이름은 뱃사공 카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0]

9. 2. 고생물학

하드로사우루스과 공룡인 ''카로노사우루스''는 극동 지역의 아무르강 유역에서 발견되어 카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1]

참조

[1] 웹사이트 Charon ! Myth & Symbols https://www.britanni[...] 2021-07-21
[2] 문서 Coins were not placed on the eyes; all literary sources specify the mouth. Callimachus, Hecale fragment 278 in R. Pfeiffer's text Callimachus (Oxford UP, 1949), vol.2, p. 262; now ordered as fragment 99 by A.S.D. Hollis, in his edition, Callimachus: Hecale (Clarendon Press, Oxford 1990), pp. 284f., from the Suda|Suidas, English translation online], specifying the mouth, also Etymologicum Graecum ("Danakes"). See also Smith's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entry on "Charon" online] for placement in the mouth, though archaeology disproves Smith's statement that every corpse was given a Coins for the dead|coin; see article on Charon's obol.
[3] 문서 Virgil, Aeneid'' 6, 324–330.
[4] 문서 Liddell and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Oxford: Clarendon Press 1843, 1985 printing), entries on χαροπός and χάρων, pp. 1980–1981; Brill's New Pauly'' (Leiden and Boston 2003), vol. 3, entry on "Charon", pp. 202–203.
[5] 문서 Christiane Sourvinou-Inwood, "Reading" Greek Death''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p. 359 online] and p. 390 online.]
[6] 문서 Christiane Sourvinou-Inwood, Charon (1), Oxford Classical Dictionary, 1995, Published online: 7 March 2016 https://oxfordre.com[...] 2020-09-28
[7] 서적 Handbook of classical mythology ABC-CLIO 2004
[8] 서적 '"Reading" Greek death: to the end of the classical period'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006
[9]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Greek mythology: based on H.J. Rose's Handbook of Greek mythology Routledge 2008
[10] 서적 Genealogy of the Pagan Gods. Volume 1: Books I-V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11] 서적 Boccaccio's expositions on Dante's Comedy Univ. of Toronto Press 2009
[12] 간행물 The Ferryman and His Fee: A Study in Ethnology, Archaeology, and Tradition
[13] 문서 Virgil, Aeneid 6.298–301], as translated by John Dryden.
[14] 문서 See Ronnie H. Terpening, Charon and the Crossing: Ancient, Medieval, and Renaissance Transformations of a Myth'' (Lewisburg: Bucknell University Press, 1985 and London and Toronto: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1985), pp. 97–98.
[15] 문서 For an analysis of these dialogues, see Terpening, pp. 107–116.
[16] 문서 For an analysis of Dante's depiction of Charon and other appearances in literature from antiquity through the 17th century in Italy, see Terpening, Charon and the Crossing.
[17] 서적 Death Gods: an Encyclopedia of the Rulers, Evil Spirits, and Geographies of the Dead ABC-CLIO, LLC
[18] 문서 DeGrummond, Nancy & Simon, Erika, The Religion of the Etruscans,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6, p. 57.
[19] 문서 See Kharon at theoi.com] for collected source passages with work and line annotations, as well as images from pottery of ancient Greece|vase paintings.
[20] 웹사이트 Two of Pluto's Moons Get Names From Greek Mythology's Underworld https://www.nytimes.[...] 2013-07-02
[21] 논문 Charonosaurus jiayinensis n. g., n. sp., a lambeosaurine dinosaur from the Late Maastrichtian of northeastern Ch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